췌장암말기의 상태는 환자마다 차이는 있으나 림프절 전이(90%)와 간 전이 (70%) 또한 담관(담도)으로 전이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암 발생 부위에 따른 체중 감소 발생 빈도를 보면 위암과 함께 췌장암은 83~87%의 환자에게서 섭취불량에 의한 체중 손실과 담즙 분비 장애로 지방과 지용성 비타민의 흡수 장애가 옵니다.
동물성 단백질 섭취에 대한 안내 이전에 췌장암환자의 경우 영양상태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에 대해 이해가 필요합니다.
위에서 잠시 말씀 드렸던 것처럼 구토, 복부통증 등에 의한 섭취불량, 담즙분비장애로 인한 지방과 지용성 비타민 흡수장애로 인해 체중(기력) 손실이 되지만 췌장을 일부 절제한 경우에는 다른 원인이 있습니다.
췌장 절제는 만복감과 장 통과 시간 단축 및 설사를 일으켜 식사 섭취량을 감소시킵니다. 흡수 불량 및 당내성 감소는 영양 불량을 더욱 악화시키고, 췌장의 소화 효소량 감소가 심할 경우에는 매 식사 시 췌장효소(Pancreatic enzyme)을 같이 드셔야 도움이 됩니다. 열량 공급을 위해서는 올리고당을 사용하는 것 역시 도움이 됩니다. 참고로 췌장효소는 인터넷에서 검색해서 적당한 제품을 구입하시면 됩니다.
정확한 상태를 통해 안내 드려야 하겠지만 지방을 제거한 쇠고기곰국, 즉 췌장암의 경우 동물성 단백질에 대한 기본 정보만을 안내 드립니다.
암환자의 경우 단백질과 열량이 부족할 경우 아래와 같은 현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위장관: 장의 구조와 기능 위축, 흡수 장애로 인한 영양소 흡수 감소 면역 기능: 영양 불량으로 방어 능력 약화, 감염으로 인해 식욕 부진, 근육 손실 내분비계; 순환 포도당과 아미노산 저하, 인슐린 감소, 성선 기능 저하 심장 순환계; 심근량 감소, 근원 섬유 위축, 부종, 괴사, 만성 염증 세포 침윤 호흡계; 호흡근 위축, 흡기와 호기 감소, 폐활량 저하, 호흡 장애 상처 치유; 콜라겐이 침착되지 않고 인장력이 나빠지며, 상처가 아물지 않고 치유되지 않으며, 합병증 발병 위험률이 증가합니다.
따라서 암 환자의 경우 단백질 분해가 가중되므로 단백질을 충분히 공급해 주어야 하는데 조직량 감소 및 체조직 분해가 심한 암환자의 경우 하루 1.5~2.5g/kg의 단백질을 공급해 주어야 하며 이때 식물성 단백질이 원칙입니다. 환자분의 입맛, 식욕 등을 감안하여 동물성 단백질을 공급해 주어야 할 때에는 최대한 지방을 제거한 상태에서 공급해 주어야 합니다.
지방을 제거하지 않은 상태에서 지방을 췌장암환자에게 공급할 경우 통증을 더 강하게 한다는 사실을 유념하시길 바랍니다.
쇠고기 곰국에 대한 영양학적 성분 조성내용을 확인 할 수 없어 하루 어느 정도 드셔야 할지 정확한 안내를 드리기에 어렵습니다. 시중에 판매하는 곰국의 포장지를 확인하시면 단백질이 어느 정도 함유하고 있는지 확인하실 수 있으니 이점은 고객분이 직접 확인하시길 바라며 참고로 육류 중 저지방 고단백 식품의 으뜸은 닭가슴살로 100g 당 단백질이 23.1g이고 지질은 1.2g을 함유하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당뇨가 있으신 경우 혹은 신장기능이 저하(병원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으면 혈액검사 항목을 확인해 보십시오. 도움이 필요하시면 연락주시길 바랍니다)된 경우라면 단백질 섭취에 유의하셔서 혈중 요소 상승 및 요독증을 예방하고 신장기능이 더욱 저하되는 것을 막아야 합니다. 간으로 전이가 되어 있다면 이 역시 단백질 섭취에 신중하셔야 합니다.